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7

제 10장] 회복과 병행 제어 DB에 문제가 생겨 데이터가 손실되면 조직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래서 DBMS는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원래의 정상 상태로 복구하는 여러 기능을 제공한다. [recovery] DB에서 같은 데이터를 여러 사용자가 서로 사용하겠다고 욕심부리게 되면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일관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데, 이를 병행제어라고 한다. 이렇게 회복과 병행제어를 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트랜잭션] 1. 정의 DBMS가 항상 정확하고 일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중심에는 트랜잭션이 있다. 트랜잭션을 관리함으로 써 DBMS의 회복가 병행제어가 가능해진다. 트랜잭션이란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DB들의 연산을 모아놓은 것이다. 또한.. 2019. 11. 19.
조합 논리회로 조합 논리회로는 입력과 출력이 있는 논리 게이트 집합으로 출력은 현재 입력에 의해 결정된다. 기억능력이 없는것이 특징이다. [ 가산기 ] 1 ] 반가산기 반가산기는 1비트를 사용하는 두 개의 입력과 두 개의 출력으로 합[Sum] 과 자리올림[Carry] 이 사용된다. 자리올림수[C] 는 A와 B의 값이 모두 1일 때 발생한다. - 반가산기 진리표 A B 올림수(C) 합(S) 0 0 0 0 0 1 0 1 1 0 0 1 1 1 1 0 - 카르노 도표를 이용한 올림수와 합에 대해 최적으로 간략화된 부울대수삭 A / B 0 1 0 1 1 [ 자리올림 ] C = AB A / B 0 1 0 1 1 1 [ 합 ] S = A~B + ~AB = A ⊕ B - 반가산기 논리회로 S = A ⊕ B C = AB 2 ] 전가산.. 2019. 11. 13.
제 9장 ] 정규화 관련이 없는 속성을 하나의 릴레이션에 모아두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이상현상 : 데이터 중복 등 ] 해결책은 하나의 릴레이션에 관련없는 속성이 들어가지 않게 하고, 친한 속성끼리 릴레이션을 구성해주면 된다. [정규화]이때 친밀도를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 이상 현상의 종류 ] 삽입 이상 새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 불필요한 데이터도 함께 삽입해야 하는 문제 갱신 이상 중복 투플 중 일부만 변경하여 데이터가 불일치하게 되는 모순의 문제 삭제 이상 투플을 삭제하면 꼭 필요한 데이터까지 함께 삭제되는 데이터 손실의 문제 [ 연쇄 삭제 현상 : 삭제 이상 ] 정규화는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릴레이션을 관련이 있는 속성들로만 구성하기 위해 릴레이션을 분해하는 과정이다. 우선 분해하기전에 릴레이션.. 2019. 11. 11.
제 8장] DB 설계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방법과 언어를 공부했지만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야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개발할 수 있다. 이 장에서는 DB의 설계방법 정규화와 E-R 모델중 E-R모델과 릴레이션 변환 규칙을 소개한다. DB설계는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DB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사용자가 DB를 실제로 사용하면 구조를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에 설계 과정에서부터 사용하기 쉬운 질 좋은 DB를 생성해야 한다.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접근하기 편해야 한다는 점도 기본 요건에 포함된다. E-R 모델과 릴레이션 변환 규칙을 이용한 DB 설계는 다음과 같이 5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요구 사항 분석 2단계 개념적 설계 3단계 논리적 설계 4단계 물리적 설계 5단.. 2019.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