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수업22

파이썬의 딕셔너리 파이썬의 딕셔너리는 정보를 찾는 기준이 는 키[key] 와 그 키에 연결된 값[value]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이다.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이 있을 때 각 사람의 이름[키] 와 나이[값] 를 대응시켜 딕셔너리로 쉽게 표현할 수 있다. EX] >>> age = { 23 = "원석", 21 = "지영", 22 = "다은"} >>> age[23] 원석 >>> name = { "원석" = 23, "지영" = 21, "다은" = 22 } >>> name["원석"] 23 2020. 3. 3.
케라스와 신경망 신경망의 훈련 요소 네트워크 [ 연속된 층으로 구성 ] 를 구성하는 층 입력 데이터와 그에 상응하는 타깃 학습에 사용할 피드백 신호를 정의하는 손실함수 [ 예측과 타깃을 비교하여 기댓값과 비교하여 손실값 생성 ] 학습 진행 방식을 결정하는 옵티마이저 [ 가중치 업데이트 ] 층 : 딥러닝의 구성 단위 하나 이상의 텐서를 입력으로 받아 하나 이상의 텐서를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대부분의 층은 가중치 [ 확률적 경사 하강법 ] 라는 층의 상태를 가진다. 확률적 경사하강법(stochastic gradient descent) 알고리즘은 데이터에 대한 매개변수를 평가를 하고 값을 조정하면서 손실함수(Loss Function)을 최소화하는 값을 구하는 접근 방법입니다. 데이터의 값이 커질수록 훨씬 빠르게 값에 .. 2019. 11. 29.
제 10장] 회복과 병행 제어 DB에 문제가 생겨 데이터가 손실되면 조직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래서 DBMS는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원래의 정상 상태로 복구하는 여러 기능을 제공한다. [recovery] DB에서 같은 데이터를 여러 사용자가 서로 사용하겠다고 욕심부리게 되면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일관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데, 이를 병행제어라고 한다. 이렇게 회복과 병행제어를 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트랜잭션] 1. 정의 DBMS가 항상 정확하고 일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중심에는 트랜잭션이 있다. 트랜잭션을 관리함으로 써 DBMS의 회복가 병행제어가 가능해진다. 트랜잭션이란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DB들의 연산을 모아놓은 것이다. 또한.. 2019. 11. 19.
조합 논리회로 조합 논리회로는 입력과 출력이 있는 논리 게이트 집합으로 출력은 현재 입력에 의해 결정된다. 기억능력이 없는것이 특징이다. [ 가산기 ] 1 ] 반가산기 반가산기는 1비트를 사용하는 두 개의 입력과 두 개의 출력으로 합[Sum] 과 자리올림[Carry] 이 사용된다. 자리올림수[C] 는 A와 B의 값이 모두 1일 때 발생한다. - 반가산기 진리표 A B 올림수(C) 합(S) 0 0 0 0 0 1 0 1 1 0 0 1 1 1 1 0 - 카르노 도표를 이용한 올림수와 합에 대해 최적으로 간략화된 부울대수삭 A / B 0 1 0 1 1 [ 자리올림 ] C = AB A / B 0 1 0 1 1 1 [ 합 ] S = A~B + ~AB = A ⊕ B - 반가산기 논리회로 S = A ⊕ B C = AB 2 ] 전가산.. 2019.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