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수업/컴퓨터 구조4 조합 논리회로 조합 논리회로는 입력과 출력이 있는 논리 게이트 집합으로 출력은 현재 입력에 의해 결정된다. 기억능력이 없는것이 특징이다. [ 가산기 ] 1 ] 반가산기 반가산기는 1비트를 사용하는 두 개의 입력과 두 개의 출력으로 합[Sum] 과 자리올림[Carry] 이 사용된다. 자리올림수[C] 는 A와 B의 값이 모두 1일 때 발생한다. - 반가산기 진리표 A B 올림수(C) 합(S) 0 0 0 0 0 1 0 1 1 0 0 1 1 1 1 0 - 카르노 도표를 이용한 올림수와 합에 대해 최적으로 간략화된 부울대수삭 A / B 0 1 0 1 1 [ 자리올림 ] C = AB A / B 0 1 0 1 1 1 [ 합 ] S = A~B + ~AB = A ⊕ B - 반가산기 논리회로 S = A ⊕ B C = AB 2 ] 전가산.. 2019. 11. 13. 부울대수 [ 부울대수의 기본 정리 ] A + 0 = A A + 1 = A A * 0 = 0 A * 1 = A A + A = A A + A = 1 A * A = A A * A = 0 A[이중부정] = A A + A * B = A -수정용 [ 부울대수의 표준형 ] 부울대수의 표준형은 모든 입력 변수를 포함하고 표현한다는 것을 뜻한다. 표준형을 이용해서 부울 대수를 최적으로 간략화할 수 있습니다. 만일 부울 대수의 두 변수 A,B가 AND 연산으로 조합될 경우 AB, AB, AB, AB [ 역표시가 없어 밑줄로 대신 표현 ] 의 네가지 조합을 가질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수들이 AND로 결합된 것을 최소항 이라고합니다. 최대항은 최소항의 반대 개념으로 OR로 연결된 것을을 최대항이라고 하며, OR 연산ㄴ으로 조합된 변수.. 2019. 10. 30. 데이터의 2진수 표현 일반적인 컴퓨터 같은 디지털 장치에서는 2진법을 사용해 수를 표현합니다. 2진수는 0,1,부호 및 소수점의 기호를 이용하여 수를 표현합니다. [부호가 없는 2진 정수의 표현] (13)10 = (1101)2 부호를 갖는 정수와 소수를 표현하기위해서는 추가로 부호와 소수점 기호를 사용해야합니다. 또한 소수를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부동소수점을 표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부호가 있는 2진 정수의 표현] 부호가 있는 2진 정수의 표현 방법으로는 3가지가 있습니다. 부호화-크기 표현 1의 보수 표현 2의 보수 표현 1 ] 부호화-크기의 표현 가장 단순하게 부호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n비트로 구성된 2진수에서 n-1번째, 즉 최상위 비트는 부호 비트이고, 나머지 비트들은 수의 절대크기를 나타냅니다. (9)1.. 2019. 10. 30. 제 1장] 컴퓨터 구조 1]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 [ 하드웨어 ] 1) 중앙처리장치 [CPU]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장치.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한 후, 출력장치와 기억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중앙처리장치는 크게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계산의 과정을 담당하는 산술논리연산장치로 구성된다. - 산술논리연산장치 [ALU] CPU의 핵심 요소로써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산술연산은 주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사칙연산을 수행하며, 논리연ㅇ산은 AND, OR, NOT, XOR 등을 포함. - 제어장치 제어장치는 CPU 내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을 통제하고 관리한다. 제어장치는 순서에따라 명령어 인출. 그 명령어를 해석한 결과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에 필요한 부븐으로 제어.. 2019. 10.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