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수업22

제 9장 ] 정규화 관련이 없는 속성을 하나의 릴레이션에 모아두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이상현상 : 데이터 중복 등 ] 해결책은 하나의 릴레이션에 관련없는 속성이 들어가지 않게 하고, 친한 속성끼리 릴레이션을 구성해주면 된다. [정규화]이때 친밀도를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 이상 현상의 종류 ] 삽입 이상 새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 불필요한 데이터도 함께 삽입해야 하는 문제 갱신 이상 중복 투플 중 일부만 변경하여 데이터가 불일치하게 되는 모순의 문제 삭제 이상 투플을 삭제하면 꼭 필요한 데이터까지 함께 삭제되는 데이터 손실의 문제 [ 연쇄 삭제 현상 : 삭제 이상 ] 정규화는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릴레이션을 관련이 있는 속성들로만 구성하기 위해 릴레이션을 분해하는 과정이다. 우선 분해하기전에 릴레이션.. 2019. 11. 11.
제 8장] DB 설계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방법과 언어를 공부했지만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야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개발할 수 있다. 이 장에서는 DB의 설계방법 정규화와 E-R 모델중 E-R모델과 릴레이션 변환 규칙을 소개한다. DB설계는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DB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사용자가 DB를 실제로 사용하면 구조를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에 설계 과정에서부터 사용하기 쉬운 질 좋은 DB를 생성해야 한다.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접근하기 편해야 한다는 점도 기본 요건에 포함된다. E-R 모델과 릴레이션 변환 규칙을 이용한 DB 설계는 다음과 같이 5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요구 사항 분석 2단계 개념적 설계 3단계 논리적 설계 4단계 물리적 설계 5단.. 2019. 11. 10.
파이썬 기본문법 - 2 '변수' 란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을 말하며, 아래와 같은 a,b,c,를 변수라고 한다 a = 1 b = "python" c = [1,2,3] C언어나 JAVA처럼 변수의 자료형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파이썬은 변수에 저장된 값을 스스로 판단하여 자료형을 알아낸다. 위와같이 a에 1을 저장하게 되면, 1이라는 정수형 객체가 a라는 변수에 저장이 되며 변수 a는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참조하는 레퍼런스 [ 참조 ] 역활을 한다. 한 마디로, 파이썬의 모든 자료형은 '상수' 가 아닌 객체이다. 따라서 1은 '정수형 객체'이며 1에 대한 정수형 객체가 따로 존재한다. 이때 변수를 생성하여 1을 저장하면 a는 1이라는 '정수형 객체'를 가리키는 [주소를 참조하는(?) ] 변수가 된다. 따라서 1을.. 2019. 11. 3.
Python 기초문제 3,4,5,6번 3. checkPalindrome 입력한 문자열이 대칭이되면 True 값을, 아닐경우 False값을 반환하는 문제 처음에는 문자열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비교를하려했지만, "cabac" 같은 문자열의 경우 b를 기준으로 ca와 ac가 대칭이지만 ==연산으로 비교했을때 순서가 달라 잘못된 값이 나왔다. 그래서 for 문을 이용하여, 문자열/2 의 길이만큼을 반복횟수로 둔 다음, 문자열의 맨 앞과 맨 뒤를 비교하여 다르면 False 값을, 맞으면 True 값을 반환하게 했다. 4. adjacentElementsProduct 배열값을 입력하면 순차적으로 한쌍식 곱하여 가장 큰 값을 반환하는 문제이다. inputArray = [1,2,3,4,5] 를 대입했다고 했을때, 먼저 a에 배열의 길이를 [5]를 저장하고, .. 2019. 11. 1.